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特性)과 변화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10:21
본문
Download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hwp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에 대한 글입니다.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hwp( 98 )
순서
다.
이와 같이 북한은 군대내 노동당 정치조직과 당정치 군관들을 통하여 군대를 철저히 장악·통제하며 노동당의 정치적 수단과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 북한은 군대안의 당정치…(To be continued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特性)과 변화전망
up김정일정권정치군사체제특성(特性)과변화전망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特性)과 변화전망에 대한 글입니다. 따라서 군총정치국은 직제상 인민무력부(성) 산하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중앙당 조직지도부 산하의 군내 당 정치기관이라 할 수 있다 군 총정치국 밑에는 군종사령부, 집단군사령부, 군단, 사단, 여단, 연대, 대대 정치부가 있고, 하부 말단 전투단위인 중대에는 당 세포비서(중대 정치지도원)로 구성되는 중대 당 세포비서 위원회가 조직되어 있다 인민군대내 모든 정치부들에는 노동당조직과 마찬가지로 조직지도부, 선전선동부, 청년사업부, 간부부, 당원 등록부, 근로 단체부, 3대 혁명소조 지도부(1933년경 해체), 3방송 및 文化기재 관리부 등 당 조직 전문부서들이 있다 그리고 연대급 이상 각 부대 당 정치 책임자는 정치위원이며 대대와 중대는 정치 지도원이다. 그 동안 총정치국은 중앙당조직지도1부 제 13과(인민무력부 총정치국 지도과)로부터 직접 지휘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up김정일정권정치군사체제특성과변화전망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자연과학레포트 ,
I. 문제제기
Ⅱ. 북한의 선군정치의 배경
1. 선군정치의 concept(개념): `혁명 군사정권` 정치로의 change(변화)
2. 선군정치의 대내외적 배경
3. 선군정치의 기능: 군부의 충성유도를 통한 군부통제
Ⅲ. 선군정치 체제의 제도적 特性(특성)
Ⅳ. 북한의 주요 군사권력기관의 역할 확대 양상
1. 북한군대의 기본 지휘·통제체계
2. 군대 당 및 정보 보위조직의 特性(특성)
3. 총정치국과 보위사령부의 역할 확대
Ⅴ. 결 론
특히 인민무력성 총정치국의 경우 그 역할과 기능은 군 당조직의 최상위에 있는 집행기관으로서 당결정심의기구인 인민군당위원회의 직접적 운영기관으로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