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07:30
본문
Download : 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hwp
태평양전쟁직전 미국무성 산하 극동국은 중경임시government 의 활동과 국민당 government 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끊임없이 들어오는 중경임정이 승인 요청을 고려하여 이에 관한 영국과 china의 의사를 타진하였다. 이에 관하여 china은 승인에 긍정적이었고, 영국은 china 내 독립운동단체들의 분열, 日本(일본)의 건재, china의 전통적 종주권 등을 이유로 현시점에서 승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
,인문사회,레포트






8[1].15광복후에주둔한미군과소련군의성격검토1
순서
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8[1].15광복후에주둔한미군과소련군의성격검토1 , 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hwp( 71 )
레포트/인문사회
머리말
1.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관심
2. 한반도에 대한 소련의 관심
3. 소련의 참전
4. 소련의 북한 점령
5. 미국의 국가체제 조직
6. 소련의 국가체제 조직
맺음말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관심
한국문제를 다룸에 있어 미국의 기본 방침은 연합국의 공동접근이었다. 미국으로서는 한국이 전략(戰略) 적으로 그리 중요하지 않은 지역이었고 china, 소련의 이권이 개입되어있는 만큼 미리 정책을 세우기보다는 상황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을 추구했던 것이다. 이것은 강대국들이 누려야 할 ‘이권’ 때문이었다.
42년 4월, china이 임시government 승인을 제안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 china은 日本(일본)의 침략에 쩔쩔매어 미국의 원조를 구걸해야 할 입장이었고 영국은 동북아문제에서 결코 당사자가 아니었다.
日本(일본)의 패망으로 인하여 동북아의 세력분포가 바뀌게 되었는데 동북아의 안정을 위하여 이 힘의 공백을 매울 필요가 있었다…(drop)
설명
8.15광복 후에 주둔한 미군과 소련국의 성격에 대한 검토
다. 그러나 미국은 꾸준히 영국과 china을 테이블로 끌어내었다.
그렇다면 미국은 왜 그러한 전략(戰略) 을 취해왔는가? 실제로 미국은 당시 동북아문제 해결에 있어서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다. 그렇지만 실제로 미국이 임정승인을 철회한 이유는 소련이 다른 한국인 단체를 승인해서 생기는 문제와 영국이 식민지 문제에 대하여 갖는 거부감등을 고려하였기 때문일것이다
이것은 미국이 대체로 자신의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꼭 다른 나라들과의 동의를 얻는 형식을 취해왔다는 전통적 미국 외교정책에 일치하는 것이다. 국내와 별다른 연결이 없는 임시government 를 지지하는 것은 한국인들이 government 를 선택할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라는 이유를 됐지만 역시 기존의 미국 정책에 혼선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였다고 하겠다. 미국은 이와 같은 영ㆍ중의 反應 외에도 다른 식민지처리 문제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임정승인을 유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