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culture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13:09
본문
Download :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문화 연구_147696.hwp
획일적 평가
라. 이원적 평가
마. 관리 지향적 평가
Ⅴ.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주제
가. 경시풍조: “특별활동 평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인터뷰 결과에 의하면 물론 학부모들도 교과활동이 아닌 특별활동에 관련되어는 담임이나 담당교사에게 상담을 요청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I.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特性
여기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별활동 평가 문화 즉, 평가의 特性이 무엇인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연구대상학교에서 실시되는 특별활동 평가는 결과 위주의 평가 문화가 지배적이다. 본 연구의 제보자들에 의하면 평가결과가 다음 학기의 특별활동 program의 내용 개편이나 지도방법 improvement(개선)을 위한 피이드백 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위주의 평가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culture 연구
순서
Download :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문화 연구_147696.hwp( 25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특별활동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分析
라.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Ⅲ. 특별활동 평가의 실상
1. 계획수립
2. 도구개발
3. 실시과정
4. 결과활용
Ⅳ.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特性
가. 결과 위주 평가
나. 형식적 평가
다.”
Ⅵ. 맺는 글
특별활동 평가결과는 program improvement(개선)과 학부모와의 상담 로 활용되지 않고 단순히 평가 결과를 기재해 놓고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물음은 첫째,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가 이루어지는 실상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주제는 무엇인가이다. 또한, 아동 개인들에 대한 학부모와의 상담 로도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인문사회,레포트
Ⅰ. 스타트하는 글
Ⅱ. 연구의 방법
가. 연구 장소 및 정보제공자
나. 수집
다.
가. 결과 위주 평가
특별활동 평가는 이론(理論)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과정평가의 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이와 같은 특별활동 평가의 실상을 토대로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特性이 무엇인지를 分析하고자 한다. 소극주의: “특별활동 평가는 마지못해 하는 척 한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특별활동을 평가하는 문화의 特性은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고, 계획과 실제가 다르게 피상적으로 실시되며, 천편일률적이고, ‘평가 따로 기록 따로’의 이원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따 특별활동 평가의 문화적 特性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나. 실질주의: “특별활동 평가는 실질적으로 쉽고 간편하여야 한다.”
다. 특별활동에서는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수행 그 자체가 결과보다 중요하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특별활동 평가는 과정이 중요시되는 학생의 실천적 활동 그 자체를 평가하여야 한다. 특별활동의 평가는 활동의 결과로 얻어진 지식이나 기능보다 활동과정에 참여하고 의욕을 보이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 ,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문화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특별활동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그들의 culture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아 구체적인 연구의 물음은 첫째,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가 이루어지는 실상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의 culture적 property(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특별활동 평가의 culture적 주제는 무엇인가이다.
설명
다.
이상에서는 특별활동 평가에 대한 연구참가자들의 인식이 왜 부정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특별활동 평가의 실상을 계획수립, 도구개발, 실행과정, 결과활용의 4단계로 나누어 살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