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철학에 있어서 마음 닦음의 해체적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6:21
본문
Download : 장자철학에 있어서 마음 닦음의 해체적 성격.hwp
이것이 제사지낼 때의 재계이다. 장자는 `심재`를 說明(설명) 하기 위...






다.
이로부터 우리는 `심재`를 통하여 장자가 부정하고자 한 대상이…(skip)
장자는 마음 닦음의 자아 내적 수렴방법의 하나로서 `심재`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안회는 당시 혼란이 극에 달하였던 위나라로 가서 국정에 참획하여 무도한 위나라 제후의 행실을 바로잡고 고통에 시달리는 백성들을 구해주겠다고 나선다. 도는 오로지 허에 모인다. 그러나 `심재`는 제사지낼 때의 재계와는 본질적으로 차원을 달리한다. 장자는 `심재`를 설명(說明)하기 위하여 「인간세」편에서 공자와 그의 제자 안회를 끌어들여 가설적인 담론을 시도한다. 장자는 `심재`를 설명하기 위... , 장자철학에 있어서 마음 닦음의 해체적 성격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장자철학에 있어서 마음 닦음의 해체적 성격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장자는 마음 닦음의 자아 내적 수렴방법의 하나로서 `심재`를 제시한다. `너는 정신을 통일하라.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듣도록 하고, 마음으로 듣지 말고 기운의 질서를 통하여 듣도록 하라. 귀는 소리를 들을 뿐이고 마음의 기능은 사물을 상대할 수 있을 뿐이지만, 기운의 질서는 허하면서도 일체의 사물에 응한다. 즉 `심재`는 마음을 하나로 통일하여 귀로 듣지 않고 마음으로 들어서 감각적 욕망을 배제하고, 마음 속에 깃들어 있던 분별지를 제거하여 정신을 순일무잡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자는 안회에게 공부가 아직 지극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만일 유세하러 가서 제후에게 간언하게 된다면, 이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형벌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이에 공자는 안회를 만류한다. 이 때 `심재`란 마음의 결재를 의미한다. 허가 `심재`이다.`20)
그런데 장자는 본질적으로 `심재`가 제사 지낼 때의 재계와는 다르다고 본다. 이 말을 듣자 안회는 공자에게 깨달음의 방법을 청하게 되고, 공자는 이에 다음과 같이 `심재`의 방법을 제시한다. 이 때 `심재`란 마음의 결재를 의미한다.
Download : 장자철학에 있어서 마음 닦음의 해체적 성격.hwp( 81 )
설명
장자는 마음 닦음의 자아 내적 수렴방법의 하나로서 `심재`를 제시한다.21) `심재`는 우리의 감각기관이 `외물`을 향하여 분주하게 치달으면서 혼란을 야기하던 것을 잠재우고, 일체의 욕망이나 정감을 비롯하여 이성적 사려까지도 깨끗하게 결재하는 방법이다. 제사를 지낼 때에는 그 전 며칠 동안 술을 끊고 마늘이나 생강 따위의 자극성 있는 음식을 먹지 않으며 심신을 깨끗하게 하여 부정한 일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이 때 `심재`란 마음의 결재를 의미한다.